# TIL
2022.09.01 TIL
1) 배열 문제를 풀었다.
2) 계산기를 만들었다.
부족했던점
1. 배열과 for문이 함께 쓰이는 문제가 너무 어렵다.
i값을 요소로 하는 배열을 만드는 것이 머리속에 바로 떠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문제를 하나하나 뜻어가며 노트에다 1차원 배열을 그려가며 복습했다.
2. 계산기를 만들면서 Scanner와 nextInt, next를 활용했다.
Scanner클래스를 가져오면 java.util.Scanner;를 import하게되며
new Scanenr(System.in)의 System.in은 입력을 위한 스트림이이다.
느낀점
1. 오늘 딥토크를 진행하면서 전공자분들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그분들은
배열을 쉽게 느끼는 것 같았다. 나는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부분이었는데,,,
다소 민망스러웠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분들 처럼 잘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전공자분들 중에서 아직 배열이 어렵다고 하는 분들이 있었다면 배열이
시간이 지나도 적응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들 쉽게 받아들이는 것을 보아하니 '반복숙달이 되면
크게 어렵지 않은 개념일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발일지 > Today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9.04 TIL (0) | 2022.09.04 |
---|---|
2022.09.03 TIL (0) | 2022.09.03 |
2022.09.02 TIL (0) | 2022.09.02 |
2022.08.31 TIL (0) | 2022.08.31 |
2022.08.30 TIL (0) | 2022.08.30 |
# TIL
2022.09.01 TIL
1) 배열 문제를 풀었다.
2) 계산기를 만들었다.
부족했던점
1. 배열과 for문이 함께 쓰이는 문제가 너무 어렵다.
i값을 요소로 하는 배열을 만드는 것이 머리속에 바로 떠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문제를 하나하나 뜻어가며 노트에다 1차원 배열을 그려가며 복습했다.
2. 계산기를 만들면서 Scanner와 nextInt, next를 활용했다.
Scanner클래스를 가져오면 java.util.Scanner;를 import하게되며
new Scanenr(System.in)의 System.in은 입력을 위한 스트림이이다.
느낀점
1. 오늘 딥토크를 진행하면서 전공자분들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그분들은
배열을 쉽게 느끼는 것 같았다. 나는 이해하기 매우 어려운 부분이었는데,,,
다소 민망스러웠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분들 처럼 잘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전공자분들 중에서 아직 배열이 어렵다고 하는 분들이 있었다면 배열이
시간이 지나도 적응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들 쉽게 받아들이는 것을 보아하니 '반복숙달이 되면
크게 어렵지 않은 개념일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발일지 > Today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9.04 TIL (0) | 2022.09.04 |
---|---|
2022.09.03 TIL (0) | 2022.09.03 |
2022.09.02 TIL (0) | 2022.09.02 |
2022.08.31 TIL (0) | 2022.08.31 |
2022.08.30 TIL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