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

개발일지/Today I Learn

[ 개발 일지 ] IT 채용 한파와 비전공자 개발자의 준비

IT 채용 한파 2019-2022 인류 역사상 유례 없는 팬데믹이 유행하며, 인류가 오랜동안 유지해왔던 직업관이 송두리째 변하게 되었다. 그 중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바로 IT 기술이었다.    우리는 IT 기술을 통해 재택근무의 효용성에 대해서 피부로 느낄 수 있었고, 엔데믹 시대에 대한 매우 적절한 대안으로 재택근무라는 새로운 근로 방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다. (물론, 재택근무는 팬데믹 이전부터 시행되어 왔지만, 이 시기를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음을 뜻한다.) 이와 더불어 저금리 시대에 투자 호황을 겪으며 IT 산업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고공행진하는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쁨은 잠시였다. 2022년 국제적인 이슈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세계적인 유류 가격이 인상..

개발일지/Trouble Shooting

[ 문제 해결 ] org.hibernate.PersistentObjectException: detached entity passed to persist 에러

문제 인식 JPA를 활용하여 Coffee 클래스의 엔티티값을 persist하려고 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 발생하였다. 문제 해결 이유는 CoffeeId의 @GeneratedValue 어노테이션이 Id 값을 생성하는데 ' 다음과 같이 config클래스에서 coffeeId 값을 임의로 설정해주어 발생하게 된 오류다. 따라서, CoffeeId값과 Coffee클래스의 Construct한 CoffeeId를 삭제하면 해결된다. 짜잔!!! DB에 바로 반영된다.

개발일지/Trouble Shooting

[ 문제 해결 ] H2에 접근이 안되는 이유?!

8080포트와 8082포트의 존재 나는 H2를 이용할 때 8082포트와 8080포트를 이용한다. 하지만, 8080 포트에 접근을 하려고 하니 Database "mem:test"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14] 90149/90149 (도움말)라는 문구와 함께 접속이 되지 않았다. 왜 접속이 되지 않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내가 8080포트를 오픈해두고 8082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8080포트를 사용하는 URL로 H2콘솔을 접근하여 올바른 DB URL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야 한다. 내가 오픈한 콘..

개발일지/Today I Learn

[ TIL ]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선언형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과 선언형 프로그래밍 오늘은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던 중에 생겨난 여러가지 궁금증과 해답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선언형 프로그래밍을 패러다임으로 가지는 프로그래밍이다. 그렇다면 선언형 프로그램이 무엇을 의미할까? 선언형과 대조되는 개념은 무엇이고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선언형 프로그래밍 선언형은 what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즉, 무엇을 할 것인가를 중점으로 만들어지는 프로그램이다. 가령, 친구가 나의 집이 어딘지를 물어볼 때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설명해 줄 수 있다. 첫째, 내가 현재 서 있는 지점부터 내 집까지 어떻게 가는지 설명한다. 둘째, 내 집 주소를 설명한다. 선언형 프로그래밍은 두번째 방법과 같다. 상대방에게 내 집이 어딘지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