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두 개의 문자열을 입력받아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case insensitive) 서로 같은지 여부를 리턴하라 인자 str1, str2 boolean 타입 리턴 str1과 str2가 서로 같은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서로를 비교하는 메서드를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서로를 비교하는 메서드는 .equals()메서드다. 따라서 최종적인 형태는 str1.equals(str2)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str1.equals(str2)를 담는 변수를 지정해야겠다. boolean 타입으로 리턴하라고 했으니 boolean compare = str1.equals(str2); 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최종적으로 return compare이 된다. 하지만, 우리의 str1,2가 대문자인지 소문자인지 알 수가 없다. ..
# TIL 2022.08.30 TIL 1) 변수, 타입, 문자열 문제를 풀었다. 2) 배열에 대해서 공부했다. 부족했던점 1. toUpperCase(), String.format()에 대해서 배우게 됐다. 쓰임 자체는 어렵지 않았지만 막상 적용하려고 하다보니 생각이 잘 되지 않았다. 특히 str1=str1.toUpperCase(); 이 부분에서는 수학적으로 해석하면 틀린 수식이지만 우항의 내용을 좌항에 대입한다는 생각을 의식적으로 해야겠다. 따라서 좌항에 대입되는 String이 대문자로 전환되는구나 정도로 이해하고 코드를 작성해야겠다. 느낀점 1. 응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느껴진다. 하지만, 여러번 반복하면 이것이 몸에 체화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TIL 2022.08.28 TIL 1) 연산자와 제어문에 대해서 배웠다. 2) 깃허브의 PULL과 PUSH의 과정에 대해서 배웠다. 부족했던점 1. 깃허브를 배우면서 다양한 오류가 발생했다.(fatal: not a git repository (or any of the parent directories): .git) 가장 기초적인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아 처음부터 막혔었다. 단순한 실수지만 부주의한 부분을 발견해서 부끄러웠다. 2. git을 알아보면서 생각한 부족한점은 레파지토리의 fork와 clone의 개념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상대방의 레파지토리를 가져오는 것을 fork라고 하고 그것을 똑같이 복제하여 내 레파지토리리에 저장하는 것을 clone이라고 한다..
명령줄 인터페이스(Command-Line Interface, CLI)는 컴퓨터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반면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프로그래밍을 할 때 왜 CLI를 사용할까? 단연, CLI가 GUI에 비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CLI는 GUI에 비해 그래픽 자원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며 화면에 표시될 그래픽 작업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보다 더 빠르게 동작한다. CLI의 명령어 우선 우리는 CLI의 편집하는 공간을 프롬프트(prompt)라고 한다. 그렇다면 CLI에 적용할 수 있는 명령어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pwd(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위치 확인하기 mkdi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