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lean을 제외한 7가지의 기본타입은 서로 형변환 할 수 있다. 형 변환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자동 타입 변환, 또하나는 수동 타입 변환(casting)이다. 바로 알아보자. 자동 타입 변환 바이트 크기가 작은 타입에서 큰타입으로 자동 전환 (ex. byte -> short/char -> int ->long) 정밀한 타입으로 전환 (ex. 정수 -> 실수) (ex. long -> float -> double) 수동 타입 전환 메모리 용량이 큰 타입에서 작은 타입으로는 수동으로 형변환을 해줘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캐스팅(casting)이라 한다. 캐스팅 연산자는 괄호 () 이며 괄호 안에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을 작성하면 된다. 가령 long 타입의 typeChange를 short 타입으..
타입은 값의 유형이나 종류를 뜻한다. 흔히 정수형 타입의 데이터는 4byte 문자형 타입의 데이터는 1byte다. 이것은 값의 크기에 따른 분류인데, 값이 저장되는 방식에 따라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으로 나뉘기도 한다. 기본 타입(primitive type): 정수타입, 실수타입, 문자타입, 논리타입 참조 타입(reference type): 기본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객체) 즉, 기본타입은 변수에 숫자나 문자를 저장하지만, 참조타입은 변수에 객체를 저장한다. int a = 1; //기본타입 Reference ref = new Reference(); //참조타입 우리가 과제할 때 어떠한 글을 인용한 것을 'reference'라고 한다. 그 의미는 '특정 문헌을 참조'했다. 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Refe..
"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 지는 항상 변수야" 우리의 생활 속에 변수라는 표현은 은연중에 사용되곤 한다. 그렇다면 변수라는 말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 까? 변수는 컴퓨터용어 속에서 '값이 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즉, 항상 그런 것이 아니지만 어떠한 매체가 갖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기계가 하는 말을 있는 그대로 알아듣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프로그래밍을 통해 내가 이해하는 언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시켜줘야 한다. 변수는 이러한 인간과 기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면 받아들이기가 좀 더 쉬운 개념이다.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int num1 = 1; 우리는 "정수(int: 데이터 타입)를 데이터..
public class Main{}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범위가 public인 Main이라는 이름의 class를 정의한다." 이를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메인이라는 "도화지(class)에 누구든지(public: 공용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라고 생각 할 수 있을 것이다. class는 객체를 정의하는 상자와 같은 개념이다. 메서드는 기능을 구현하는 코드의 모임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메서드, 누구냐 넌?! 초반에는 메서드의 개념을 잡는 것이 어려웠다. 하지만 'funtion' 곧, 함수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깨닫게 되었다. 함수는 어떠한 기능을 뜻한다. 따라서 메서드는 이러한 함수를 담은 클래스 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약간의 더 큰 기능을 하지만 서로 비슷한 개념이라고 이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