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oolean을 제외한 7가지의 기본타입은 서로 형변환 할 수 있다.
형 변환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자동 타입 변환, 또하나는 수동 타입 변환(casting)이다.
바로 알아보자.
자동 타입 변환
- 바이트 크기가 작은 타입에서 큰타입으로 자동 전환
- (ex. byte -> short/char -> int ->long)
- 정밀한 타입으로 전환 (ex. 정수 -> 실수)
- (ex. long -> float -> double)
수동 타입 전환
메모리 용량이 큰 타입에서 작은 타입으로는 수동으로 형변환을 해줘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캐스팅(casting)이라 한다.
캐스팅 연산자는 괄호 () 이며 괄호 안에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을 작성하면 된다.
가령 long 타입의 typeChange를 short 타입으로 바꾸려면 (short)tpyeChange라고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코드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long typeChange = 10L;
short convert = (short)typeChange;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 Java] 연산자(Operator) (0) | 2022.08.29 |
---|---|
[자바 / Java] 문자열(String) (0) | 2022.08.28 |
[자바 / Java] 타입(Type) (0) | 2022.08.28 |
[자바 / Java] 변수(Variable)와 상수(Constant) (0) | 2022.08.27 |
[자바 / Java] JAVA의 기본 중에 기본 (0) | 2022.08.26 |
728x90
boolean을 제외한 7가지의 기본타입은 서로 형변환 할 수 있다.
형 변환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자동 타입 변환, 또하나는 수동 타입 변환(casting)이다.
바로 알아보자.
자동 타입 변환
- 바이트 크기가 작은 타입에서 큰타입으로 자동 전환
- (ex. byte -> short/char -> int ->long)
- 정밀한 타입으로 전환 (ex. 정수 -> 실수)
- (ex. long -> float -> double)
수동 타입 전환
메모리 용량이 큰 타입에서 작은 타입으로는 수동으로 형변환을 해줘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캐스팅(casting)이라 한다.
캐스팅 연산자는 괄호 () 이며 괄호 안에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을 작성하면 된다.
가령 long 타입의 typeChange를 short 타입으로 바꾸려면 (short)tpyeChange라고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코드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long typeChange = 10L;
short convert = (short)typeChange;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 Java] 연산자(Operator) (0) | 2022.08.29 |
---|---|
[자바 / Java] 문자열(String) (0) | 2022.08.28 |
[자바 / Java] 타입(Type) (0) | 2022.08.28 |
[자바 / Java] 변수(Variable)와 상수(Constant) (0) | 2022.08.27 |
[자바 / Java] JAVA의 기본 중에 기본 (0) | 2022.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