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는 연산에 필요한 부호 등호 등을 통칭하는 의미다.
그렇다면 연산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산술 연산자
연산자 | 수식 | 리터럴 |
+ | 5 + 2 | 7 |
- | 5 - 2 | 3 |
* | 5 * 2 | 10 |
/ | 5 / 2 | 2 |
% (나머지 연산자) | 5 % 2 | 1 |
단, 나눗셈과 나머지 연산자의 우항에는 0을 대입 할 수 없다. 0을 대입하는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또한 우항과 좌항 중 하나라도 실수 타입 값이 존재하면 결과값은 실수로 자동 형변환된다.
증감 연산자
변수의 값을 1씩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는 연산자를 뜻한다.
또한 증감연산자가 앞에 있으면 전위형 뒤에 있으면 후위형이라고 한다.
복합 대입연산자
가령 test라는 변수의 값이 5고 test라는 변수에 6이라는 수를 복합 대입연산자를 활용하여 값을 넣어준다고 할 때
test + 6;
이라고 할 수 있지만
test += 6;
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복합 대입 연산자다.
비교 연산자
비교연산자는 boolean타입으로 평가 될수 있는 조건식에 주로 사용되며, 대소 비교연산자와 등가 비교 연산자로 구분된다.
대소 비교 연산자는 쉽게 말해 부등호를 사용하는 연산자다. (>, >=, <, <=)
주의할 점은 단항 연산자로 1<x 라고 표현할 수 있지만, 1<x<3과 같은 형식의 단항연산자는 사용 할 수 없다.
이때에는 1 < x &&(그리고) x < 3이라고 작성해야 한다.
등가 비교 연산자는 좌항 우항간의 값이 서로 같은지 아닌지를 비교하는 연산자다. 등가 비교 연산자는 true나 false를 반환한다.
1==1 (true)
1==2 (false)
1!=1 (false)
1!=2 (true)
논리 연산자
논리연산자는 &&(and 연산자), ||(or연산자), !(not 연산자)를 말하며 boolean타입을 반환한다.
연산자 우선순위
우선순위 | 연산자 |
1 | () : 괄호 |
2 | !, ++ : 부정연산자, 증감 연산자 |
3 | *, /, % : 곱셈, 나눗셈, 나머지 |
4 | <, <=, >, >= : 대소 비교 연산자 |
5 | && : and 연산자 |
6 | || : or 연산자 |
7 | ?: 조건 연산자 |
8 | =,+=, -= : 대입/할당 연산자 |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 Java] 언더플로우(underflow)와 오버플로우(overflow) (0) | 2022.08.30 |
---|---|
[자바 / Java] 제어문(Control Statement) (0) | 2022.08.29 |
[자바 / Java] 문자열(String) (0) | 2022.08.28 |
[자바 / Java] 타입 변환 (Type Conversion) (0) | 2022.08.28 |
[자바 / Java] 타입(Type) (0) | 2022.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