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어원 그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제공 받는 손님을 떠올리면 이해가 편하다.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자면 쇼핑몰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정보가 최신화된다. 내가 얼룩무늬 옷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방금 전에 봤던 옷이 품절되었다면 내가 그 옷을 구매하려고 고민하던 사이에 누군가가 구매를 했다는 것이다.
이토록 서로 다른 지역에서 하나의 상품을 구매를 할 때 정보가 실시간으로 변동되며 이것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서버'의 역할이다. 서버는 상품의 목록 및 변동사항을 처리한다.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제품을 확인하며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이다.
이처럼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을 분리시킨 것을 2-Tier아키텍처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라고 한다.
덫붙여서 리소스를 저장하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해 두는데 이 공간을 "데이터 베이스"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아키텍처를 3-Tier 아키텍처라고 부른다.
정리하자면...
- 클라이언트 :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 (상품정보 조회가능)
- 서버: 리소스를 전달해주는 앱(상품정보 최신화)
- 데이터베이스: 리소스 저장 공간(창고같은 역할)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 번째 회고: CSS (0) | 2022.08.26 |
---|---|
세 번째 회고: HTML 시험 (0) | 2022.08.26 |
두 번째 회고: 트위틀러 목업 구현하기 (0) | 2022.08.25 |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0) | 2022.08.22 |
첫 번째 회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0) | 2022.08.22 |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어원 그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제공 받는 손님을 떠올리면 이해가 편하다.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자면 쇼핑몰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정보가 최신화된다. 내가 얼룩무늬 옷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방금 전에 봤던 옷이 품절되었다면 내가 그 옷을 구매하려고 고민하던 사이에 누군가가 구매를 했다는 것이다.
이토록 서로 다른 지역에서 하나의 상품을 구매를 할 때 정보가 실시간으로 변동되며 이것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서버'의 역할이다. 서버는 상품의 목록 및 변동사항을 처리한다.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제품을 확인하며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이다.
이처럼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을 분리시킨 것을 2-Tier아키텍처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라고 한다.
덫붙여서 리소스를 저장하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해 두는데 이 공간을 "데이터 베이스"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아키텍처를 3-Tier 아키텍처라고 부른다.
정리하자면...
- 클라이언트 :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 (상품정보 조회가능)
- 서버: 리소스를 전달해주는 앱(상품정보 최신화)
- 데이터베이스: 리소스 저장 공간(창고같은 역할)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 번째 회고: CSS (0) | 2022.08.26 |
---|---|
세 번째 회고: HTML 시험 (0) | 2022.08.26 |
두 번째 회고: 트위틀러 목업 구현하기 (0) | 2022.08.25 |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0) | 2022.08.22 |
첫 번째 회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0)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