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1XX - 정보
요청을 받았음을 의미(거의 사용하지 않음)
2. 2XX -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고 수용함을 의미
- 200 OK - 요청이 성공했음을 의미함
- 201 CREATED - 요청의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의미함
- 202 ACCEPTED - 요청을 수신했지만 완료되지 않았음을 의미함
- 204 NO CONTENT - 요청에 따른 결과가 아무것도 없어도 될때 성공적으로 요청이 완료됨을 의미함
3. 3XX -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함을 의미함
- 300 MULTIPLE CHOICE - 요청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응답이 가능함을 의미함
- 301 MOVED PERMANENTLY - 요청한 리소스가 완전히 새 URI로 이동되어 요청이 영구적으로 수정되었음을 의미함
- 302 FOUND - 일시적으로 다른 URI로 리소스를 찾았으며, 이제 요청처리에 대한 응답이다른지 확인해야 함을 의미함
- 303 SEE OTHER - GET 또는 HEAD 메서드를 사용하여 다른 URI에 있을 리소스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 304 NOT MODIFIED - 재 요청하여도 새로운 데이터를 반환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보통 캐시된 데이터를 불러올 때 사용됨을 의미함
- 305 USE PROXY - 요청된 리소스가 반드시 프록시를 통해 요청되어야 함을 의미함
- 307 TEMPORARY REDIRECT - 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URI에 위치하여 요청자는 새 URI를 사용하여 요청을 의미함
- 308 PERMANENT REDIRECT - 요청한 리소스가 새 위치에 영구적으로 이동되었으며, 새로운 URI를 사용하여 요청해야 함을 의미함
4. 4XX -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처리할 수 없음을 의미함
- 400 BAD REQUEST - 잘못된 문법으로 요청했음을 의미함
- 401 UNATHORIZED - 인증이 없음을 의미함
- 403 FORBIDDEN -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에 접근할 권리가 없음을 의미함
- 404 NOT FOUND -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함
- 405 METHOD NOT ALLOWED - 요청한 메소드를 알지만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함
5. 5XX - 서버오류
서버가 요청에 대해 충족하지 못함을 의미함
- 500 INTERNET SERVER ERROR - 서버에 문제가 발생했지만 정확하게 알 수 없음을 의미함
- 502 BAD GATEWAY - 서버가 게이트웨이로부터 잘못된 응답을 수신했음을 의미함(서버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 504 GATWAY TIMEOUT - 엑세스하는 다른 서버의 응답을 적시에 받지 못했음을 의미함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TTP ] HTTP 콘텐츠 협상이란 무엇일까? (0) | 2023.07.12 |
---|---|
[ HTTP ] 리다이렉션(REDIRECTION)이란 무엇일까?! (0) | 2023.07.04 |
[ HTTPS ] HTTPS란 무엇일까? (0) | 2022.11.17 |
[네트워크]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이해 (1) | 2022.10.04 |
[네트워크] 웹(Web)의 이해와 웹을 구성하는 기술 (0) | 2022.09.30 |